// 대입 연산자 =
const a = b;
a라는 변수에 b를 대입한다.(=)
a와 b가 같다는 뜻이 아닙니다!!
//덧셈 +
5 + 2 =7
//뺄셈 -
5 -3 =2
//곱셈 *
2 * 3 =6
//나눗셈 /
6 / 3 =2
//나머지 %
8 % 3 = 2
아래 코드에서 === 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음을 의미합니다.
"가" + "나" === "가나";
"아니" * 5 === "아니아니아니아니아니";
5 + 2 === 7 //왼쪽과 오른쪽과 같음
5 + 3 !== 4 //왼쪽과 오른쪽이 다름
5 > 3 //왼쪽이 오른쪽보다 큼
5 >== 3 //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음
4 < 6 //오른쪽이 왼쪽보다 큼
4 <== 6 //오른쪽이 왼쪽보다 크거나 같음
여기서 논리는 true 또는 false , 즉 조건이 틀린지 맞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.
5 === 3 // false
5 !== 3 // true
그럼으로 5 == 3은 틀리므로 false, 5 ! = 3은 맞으므로 true로 반환됩니다.
아래 코드는 대표적인 논리연산자 &&(AND 또는 논리곱), ||(OR 또는 논리합) 입니다.
//&& 논리곱, 둘 다 true여야 true를 반환
true && true === true;
true && false === false;
false && true === false;
false && false === false;
//|| 논리합, 둘 중 하나라도 true면 true를 반환
true || true === true;
true || false === true;
false || true === true;
false || false === false;
&&은 왼쪽과 오른쪽이 모두 true여야 true를 반환하고, ||은 왼쪽과 오른쪽 둘 중 하나라도 true면 true를 반환합니다. 아래는 예제입니다.
5 === 3 && 5 >3 === false; //(false && true === false)
2 === "2" || 4 < 2 === false; //(false || false === false)
여기서 2 === “2”에서 왼쪽은 숫자 2, 오른쪽은 문자 “2”입니다.